공부기록/TIL

[TIL] 250530 - 프로그래머스 네트워크

박윤서 2025. 5. 30. 15:50

문제 설명

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. 예를 들어,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,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컴퓨터 A와 컴퓨터 C도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컴퓨터 A, B, 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
컴퓨터의 개수 n, 연결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comput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네트워크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.

제한사항

  • 컴퓨터의 개수 n은 1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  • 각 컴퓨터는 0부터 n-1인 정수로 표현합니다.
  • i번 컴퓨터와 j번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computers[i][j]를 1로 표현합니다.
  • computer[i][i]는 항상 1입니다.

입출력 예

n computers return
3 [[1, 1, 0], [1, 1, 0], [0, 0, 1]] 2
3 [[1, 1, 0], [1, 1, 1], [0, 1, 1]] 1

입출력 예 설명

예제 #1
아래와 같이 2개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.

예제 #2

아래와 같이 1개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.

 

나의 답

def solution(n, computers):
    visited = [False] * n
    count = 0
    
    # i번째 컴퓨터에서 연결된 네트워크 찾는 함수
    def dfs(i):
        visited[i] = True # 봤다고 체크
        for j in range(n): # 컴퓨터 돌아가면서 체크
            if computers[i][j] == 1 and not visited[j]: # 연결에 방문 안했던거면
                dfs(j) # 연결
    
    for i in range(n):
        if not visited[i]: # 방문 안되어있는 컴퓨터로 시작해서
            dfs(i) # 연결된 친구들 표시끝내고
            count += 1 # 카운트 늘리기
            
    return count
  • 이 문제는 정말 아이디어 자체도 떠오르지 않았다 ㅠ.ㅠ
  • 순수 지피티의 힘을 빌린 코드로 최대한 이해하기 위해 주석을 자세히 달고자 했다.
  • 연결된 친구 네트워크를 찾는 함수를 따로 정의해주고 재귀까지도 고려해야하는 부분이 어려웠다.
  • 우선은 구조를 외워놓고 나중에 다시 반복해서 풀 때 풀리는지 확인해봐야겠다.